본문 바로가기

Free software

회사컴퓨터에 프리웨어를 설치해도 될까요?

백신프로그램이나 파일 압축프로그램 등 컴퓨터를 사용한다면 누구나 사용해봤고,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이라 생각됩니다.

가정의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너무나 빈번하게 설치를 하고, 사용해 왔기에 가끔 회사에서도 아무 거리낌없이 설치하고 사용하는걸 봐왔습니다.

지적재산권이나 라이센스 단속이 엄중해지면서, 근래에는 이런 무분별한 사용은 많이 줄긴 한것 같습니다만,

저도 그렇고 아직도 이 문제에 대해 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계신것 같아 한번 정리해 봅니다.

 

프리웨어라 하면 무조건 사용가능한걸로 알고 계신 분들도 계신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꼭 그렇지많은 않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에서는 프리웨어 혹은 프리소프트웨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습니다.

 

 원저작자가 금전적인 제권리를 보류하여 누구나 무료로 사용하는 것을 허가하는 공개된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프리웨어(freeware) 또는 온라인 소프트웨어라고도 한다.

 PC통신의 공개 자료실(data library)이나 인터넷FTP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아서 자유로이 사용할 수 있다.

프리웨어의 개인간에 주고받는 형태로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은 허가하고 상업적 이익에는 이용되지 못하는 소프트웨어이다.

최근에는 프리웨어가 들어 있는 플로피디스크나 시디롬을 서적이나 잡지의 부록으로서 첨부하는 일이 많아

일반 이용자에게도 널리 보급되고 있다.

프리웨어와 같이 얻어서 사용할 수 있는 공개 영역 소프트웨어의 일종인

셰어웨어(shareware)는 최근에는 일정 기간 시험 사용한 뒤에 요금을 지불하고 계속 사용하는 것으로 발전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프리소프트웨어 [free software] (두산백과)

 

 

쉬운 예로 알약, 알집 등으로 널리 알려진 알소프트의 라이센스 정책입니다.

비영리 목적의 모든 개인사용자로 무료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는 법인 혹은 사업자등록을 한 사업체 혹은 개인사업자의 경우

유료버전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http://www.altools.co.kr/Support/License.aspx

 

셰어웨어는 자유롭게 사용할수 있도록 공개된 프로그램을 말합니다. 주로 정식버전을 구매하기 전에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도록

정품과 동일한 기능을 일정기간동안 공개하거나 핵심기능을 제한한 버전을 말합니다.

일종의 맛보기용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셰어웨어는 그 사용기간을 정확히 지켜야 하며, 위반시 위법이 됩니다.

 

셰어웨어의 개념에 좀 더 정확히 알아보기 위해 네이버 지식백과를 검색해 봤습니다.

 

제조사들이 정품 구매를 확대하기 위해 공급하는 일종의 샘플로,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복사할 수 있지만 판권은 공개한 쪽에 남아 있으며

일정기간 사용한 뒤에는 대금을 지불하고 정식사용자로 등록해야 한다.

무료로 공급하는 소프트웨어라고 해도 정품에 뒤지지 않는 강력한 기능과 사용환경을 가지고 있어 일반
컴퓨터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되고 있다.

파일압축 프로그램인 윈집, 그래픽 프로그램인 페인트숍 프로는 가장 대표적인 셰어웨어이다.

지정된 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명백한 저작권법 위반이다. 그래서 셰어웨어와 동일한 성능을 가지는 프리웨어(freeware)를 다운받아 설치하기도 한다.

프리웨어는 셰어웨어와 비슷한 개념이나 기간의 제한 없이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일반 사용자에 한한 것이고

기업 업무용 PC에서 사용하는 등의 상업적 용도로는 사용할 수 없다.

[네이버 지식백과] 셰어웨어 [shareware] (두산백과) 

 

스마트폰의 성능이 좋아지면서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일들이 정말 많아졌습니다. 그만큼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어플)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단 얘기지요. 유료 혹은 무료의 명확한 구분을 지어서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되어 있어서 스마트폰에서는 라이센스 문제로 골치아플 문제가 별로 없는데요.

어둠의 경로(?)를 이용한다면 조금은 신경이 쓰이겠습니다.^^

 

컴퓨터에 프리웨어 혹은 셰어웨어를 설치하여 사용하실때 귀찮더라도 꼭 라이센스 정책을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